cs (6) 썸네일형 리스트형 컴퓨터 네트워크 웹 통신 흐름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웹 상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문서, 이미지, 동영상 등의 웹 리소스를 주고받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계층의 프로토콜. HTTP는 요청-응답 모델을 사용하며, 상태가 없는(stateless) 특성을 가짐. 이는 각 요청이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서버가 이전 요청에 대한 정보를 기억하지 않는다는 의미최근에는 보안 강화를 위한 HTTPS도 사용. HTTP 요청 메서드: HTTP 요청에는 여러 가지 메서드가 존재. (CRUD + HEAD) HTTP 응답 상태 코드: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응답할 때 상태 코드를 사용하여 요청 처리 결과를 전달.(200, 400, 404...) DNS(Domain Name System): 도메인 이름을 IP .. 네트워크 계층 정리 IP 주소(Address)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출발지와 목적지를 구별할 수 있는 주소함.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되는 주소는 IP 주소. IP 주소는 32비트의 이진수로 구성되며, 보통 10진수로 표현됨 => 8비트로 나누고 다시 10진수로 표현.(구성과 표현의 차이) IPv4에서는 32비트 주소가 사용되고, IPv6에서는 128비트 주소가 사용.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로 나눠서 구성됨(24비트 + 8비트). 라우팅(Routing) 라우팅은 패킷을 보낼 때, 출발지와 목적지를 연결하는 경로를 찾아주는 과정이다.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참조하여 패킷을 전송함. 라우팅 알고리즘으로는 Distance Vector (DV) 라우팅, Link State (LS) 라우팅 등이 존재. Distance Vect.. 컴퓨터 네트워크 7차시, 8차시 정리 DNS(Domain Name System) DNS는 Domain Name System의 약자로,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도메인 이름을 숫자 형태의 IP 주소로 변환하는 역할 DNS는 계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터넷 사용자들이 도메인 이름을 이용해 웹 사이트 등에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 DNS의 동작 방식 Recursive Domain Name Resolution Iterative P2P(Peer-to-Peer) P2P는 Peer-to-Peer의 약자로, 중앙 서버 없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컴퓨터들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식 P2P 방식은 중앙 서버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고, 빠른 속도와 안정성을 제공 Pure P2P 문제점 Peer의 부제 보안 취약 일부 PEER가 다른 P.. 컴퓨터 네트워크 IPv4와 IPv6 비교 IPv4와 IPv6 비교 인터넷 프로토콜(IP)은 인터넷 통신에 사용되는 기본 프로토콜. IPv4 => 오래동안 사용됨. 인터넷 사용자 수와 연결된 디바이스 수가 급격히 증가함에 따라 주소 공간이 부족하게 됨. IPv6 => 개발시작 주소 공간 IPv4와 IPv6의 가장 중요한 차이점 중 하나는 주소 공간 IPv4는 약 43억 개의 고유 IP 주소를 허용하는 32비트 주소 공간을 사용 반대로 IPv6는 128비트 주소 공간을 사용하므로 사실상 무제한의 고유 IP 주소를 허용 주소 표현 방식 IP 주소가 표현되고 할당되는 방식이 다름. IPv4에서 주소 => 10진수로 표기.(192.0.2.1) IPv6 주소 => 16진수 표기로 표기.(2001:0db8:85a3:0000:0000:8a2e:0370:733.. 컴퓨터 네트워크 3, 4차시 Circuit Switching 전화망과 유사한 데이터 전송 방법 데이터 전송 전에 전용 물리적 경로(circuit)를 설정하여 데이터 전송 동안에는 다른 데이터가 이 경로를 사용할 수 없음 경로가 정해지고 바뀌지 않기 때문에 지연이나 데이터 손실이 발생하지 않으며, 데이터 전송률도 일정 대역폭이 낭비될 수 있고, 다른 데이터가 이 경로를 사용하지 못하므로 네트워크 리소스가 비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에는 적합하지 않음 Packet Switching 데이터 전송 방법 중 하나 데이터를 작은 조각(packet)으로 나누어 전송 각각의 패킷은 목적지 주소를 가지고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독립적으로 전송됨 전송 과정에서 네트워크 리소스가 동적으로 할당되어 사용되며, 대역폭이 효율적으로 .. 컴퓨터 네트워크 1,2차시 1) 네트워크의 내부구조 => 계층적 구조 2) 통신의 역사 : 봉화 => 우편 => 봉화 => 전보 => 전화 3) 컴퓨터통신(network)의 역사 Dial-up => 전화선 그대로 이용 Dsl => 전화선을 통신선로 로사용 마지막 단계만 전화선 사용 100배 가까운 성능(큰 성능개선) 케이블 모뎀 => 동축선 => 데이터를 나누어 씀, 공유 데이터 FTTH(Fiber To The Home) : 광섬유를 집안까지 연결 구리선(전기적 신호) => 광섬유(전자기파 가시광선 신호) 대여폭,설치비용,잡음특성 등 성능 개선 하지만 공유하기 때문에 환경에 따라 다른 성능을 보임 기타 last mile 통신기법 => wifi, ethernet, 3g(음성), lte(데이터) 통신선로의 종류 구리선 ex) 전화선 .. 이전 1 다음